카테고리 없음

[카운팅스타] 9월 개인활동(1) - 애플의 금리 스왑 전략

buddlee 2024. 9. 15. 19:44

안녕하세요! 카운팅스타의 문동욱입니다. 방학도 끝나고 이제 9월달을 맞았습니다!

여전히 날씨는 덥지만.... , 시원한 가을 바람과 함께 추석 연휴 잘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기업, 애플이 어떻게 금리 스왑을 활용해

부채 관리와 이자 비용 절감을 실현하고 있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금리(이자)스왑이란?

금리 스왑은 두 당사자가 각기 다른 금리 조건을 가진 현금 흐름을 교환하는 파생상품 계약입니다.

주로 이때 한 쪽은 고정 금리를, 다른 쪽은 변동 금리를 지급합니다.

주로 금리 변동에 따른 이자 비용 리스크를 관리하거나 금융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출처 : 파생상품의 원리(윤평식 저, 탐진출판사, 2011년)

 Libor라는 건 뭐지? 싶으실 텐데요.

간단하게 말하면 기관간 금융 거래 시 기준이 되는 금리를 말해요,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저 Libor는 계속 변동하는 수치라는 점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금리가 바뀐다고??
 네! Libor 금리 뿐만아니라 정확히는 모든 금리의 최소 지점이 되는 기준금리가 변하게 됩니다!

출처 : 한국은행 홈페이지

 

위 그림 처럼 한국은행에서는 주기적으로 기준금리를 계속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출 금리나 예금금리도 변화하게 됩니다!

 

이처럼  금리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들은 스왑을 적절히 활용하여 위험을 최소화 하려고 합니다.

 

 

아래의 표는 이전의 그림을 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처럼 스왑을 통해 결과적으로 고정금리인 기업은 변동금리로 ,

변동금리인 기업은 고정금리로 전환하여

각자의 리스크를 회피하려고 합니다.

 

구분 기업 A 기업 B
시장 이자율 조건 (-) 고정금리 10% 변동 금리 Libor +1%
스왑을 통해 받는 이자(+) 9.8% Libor
최종 이자 비용 Libor - 9.8 + 10% =Libor + 0.2% (Libor + 1%) - Libor + 9.8% = 10.8%

 

 

 

애플의 금리 스왑

그럼 애플은 이 금리스왑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을까요?

애플은 자신들이 발행한 채권의 이자비용을 스왑을 통해 절약하고 있었습니다.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 예측될 때 :

고정 금리 -> 변동 금리로 스왑 진행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 예측될 때:

변동 금리 -> 고정 금리로 스왑 진행

 

가상의 예를 들어 살펴 보겠습니다.

 

만약,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할 때

구분 고정 금리 채권 유지 금리 스왑 활용 시
: 변동 금리로 전환
절감한 이자 비용
채권 금리 조건 4%(고정 금리) 변동 금리( 현재 2%)  
채권 규모 $10억 $10억  
이자비용 10억*0.04= 4000만 10억*0.02 = 2000만 4000-2000 =2000만

 

반대로 금리가 올라간다고 예상한다면?

구분 변동 금리 채권 유지 금리 스왑 활용 시
: 고정 금리로 전환
절감한 이자 비용
채권 금리 조건 5%(고정 금리) 변동 금리( 현재 4%)  
채권 규모 $10억 $10억  
이자비용 10억*0.05= 5000만 10억*0.04 = 4000만 5000-4000 = 1000만

 

이렇게 예상되는 금리 상황에 따라 스왑을 적절히 활용하면 이자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간단해서 놀라셨나요?

실제 기업이 사용하는 전략이더라도 그 뼈대는 기본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답니다!

 

 

 

금리 관련 기사 구글 검색 결과

 

특히나 최근 급격하게 금리가 올라왔고 이제 내려간다는 소식이 들리는 상황인데요...

이러한 금리를 활용한 전략이 더욱 중요해 보이네요!

 

스왑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귀성길 올라가시는 동안 저희 팀원이 올려놓은 카드뉴스를 참고해 보세요!

https://cafe.naver.com/krxfuturestarhttps://www.instagram.com/p/C-Fk95uyl5x/?igsh=YjhxYTcybHJ5bGJ5&img_index=1

* 이 게시물은 한국거래소의 지원을 받아 팀별 스터디를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