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X퓨처스타] 7월 스터디 - 옵션의 가격결정
안녕하세요! KRX퓨처스타 카운팅스타 문동욱입니다.
오늘은 옵션의 가격 결정에 대해 쉽고 명쾌하게 풀어서 설명해드리려고 해요.
다소 어려워 보이지만 저와 함께 한걸음씩 나아가 봅시다!!
먼저 옵션의 정의에 대해 다시 호다닥 복습해봅시다!

옵션이란?
특정 가격으로 상품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입니다!
살 수 있는 권리 => 콜옵션
팔 수 있는 권리 => 풋옵션
이 때 권리를 산 사람을 옵션 매수자, 권리를 판 사람은 옵션 매도자라고 합니다.
이 때 옵션 매도자의 경우 옵션 매수자의 권리를 행사할 시 지켜줄 의무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 웅비는 3월달에 6개월 후 9월에 배추를 200만원에 구매하기로 하는 콜옵션(권리)을 황비로부터 구매했습니다!
이 경우, 황비에게는 반대로 9월달에 배추를 200만원에 팔 의무가 생기는 것입니다!
여기서 과연 황비는 이러한 의무의 대가로 콜옵션을 얼마에 웅비에게 판매했을까요?
이 때 판매하는 콜옵션의 가격을 바로 옵션의 가격, 옵션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시간가치와 내재가치
옵션의 가치는 크게 내재가치와 시간가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위 예시는 행사가격이 296point인 콜옵션과 풋옵션의 기초자산에 따른 가격을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 내재가치(Exercise Value): 이건 옵션을 즉시 실제로 행사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입니다.
- 만약 현재 주가지수가 300point인 경우 해당 콜옵션의 내재가치는 300-296 =4(p)가 됩니다.
- 만약 현재 주가지수가 292point라서 행사가격보다 아래인 경우, 권리를 행사하지 않으므로 내재가치는 0이 됩니다.
- 시간가치(Time Value): 옵션의 만기까지 남은 시간 동안, 그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반영된 가치입니다.
- 이 때 행사가격과 현재가격이 동일한 경우 옵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에 시간가치가 가장높습니다.
- 그러나 이 경우 내재가치가 0이므로 옵션의 가치가 가장 높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옵션의 가격결정요인
그러면 좀 더 들어가서 옵션 가격은 어떤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될까요?
앞서 살펴보았듯, 행사가치 또는 시간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옵션가격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봅시다!
(중간)기초자산의 가격: 기초자산 가격이 오르면 더 비싸게 팔아 차익을 더 남길 수 있어 콜옵션의 프리미엄은 오르고, 반대로 떨어지면 더욱 싸게 사서 비싸게 팔 수 있으므로 풋옵션의 프리미엄이 오릅니다.
(오른쪽)권리행사가격: 낮은 권리행사가격은 싸게 살 수 있으므로 콜옵션의 프리미엄을 높이고, 높은 권리행사가격은 비싸게 팔 수 있으므로 풋옵션의 프리미엄을 높입니다. 즉 행사가치를 증가시키므로 옵션의 가격을 상승시키게 됩니다.
위 그래프 중 우측 그래프를 보면 동일하게 300 point일 때 옵션가치를 비교해 보면 행사가격이 낮은 쪽이 더욱 옵션가격이 큼을 알 수 있습니다.
행사시점까지의 기간(잔존기간): 행사시점까지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기간동안 옵션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중가하여 시간가치가 증가하게 됩니다.
변동성: 시장의 변동성이 크면 큰 이득 또는 손실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만기내에 기초자산의 가격이 변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시간가치가 증가하여, 프리미엄도 자연스레 높아집니다.
각 요인과 옵션 가격의 관계를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가격결정요인 | 콜옵션 가격 | 풋옵션 가격 | |
기초자산가격 | 상승 | 상승 | 하락 |
하락 | 하락 | 상승 | |
기초자산변동성 | 증가 | 상승 | 상승 |
감소 | 감소 | 감소 | |
만기까지 남은기한 | 증가 | 증가 | 증가 |
감소 | 감소 | 감소 | |
권리행사가격 | 상승 | 하락 | 상승 |
하락 | 상승 | 하락 |
( 출처 : [도서] 손에 잡히는 파생상품시장)
오늘은 옵션의 가격 구성요소와 그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옵션의 위험요소에 대한 게시글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상 카운팅스타 문동욱이었습니다!

본 게시글을 한국거래소의 지원을 받아 팀별 스터디를 통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