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X퓨쳐스타

[KRX퓨처스타] 카운팅스타 스터디 활동 - 콘탱고와 백워데이션

buddlee 2024. 6. 30. 23:40

 

 

안녕하세요, KRX 퓨처스타 4기 카운팅스타 문동욱입니다! 스터디 활동 내용으로 돌아왔습니다!

시험기간과 겹치다 보니까 월말에 작성하게 되었네요 ㅎㅎ;;;;

오늘은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 파생상품 용어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려고 해요.

공부하면서 어려운 부분도 많았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GO GO : )


1. 선물이란?

먼저, 오늘 배울 용어들의 기본이 되는 선물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물(Futures)은 상품을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매매하기로 한 약속을 말합니다.

선물 매수 - 상품을 특정한 가격에  미래에  사기로 약속하는 것

선물 매도 - 상품을 특정한 가격에  미래에  팔기로 약속하는 것

 

 

2. 선물의 이론적 가격

그리고 이론 선물 가격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쉽게 말해서, '이론적으로' 선물 계약의 가격이 얼마일지 계산한 결과입니다. 구체적인 공식은 복잡하지만, 그냥 '현물 가격에 이자나 비용을 더해서 계산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농부가 지금 1000원인 배추를 3개월 뒤에 거래하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배추를 3개월간 보관하는 비용이 최소한 포함되어야겠죠? 그래서 선물의 이론적 가격은 "1000원 + 보관비"가 됩니다.

 

이렇게 선물의 이론적 가격은 미래의 비용이 포함되어 산정되게 됩니다.

3. 콘탱고(Contango) &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이제 본격적인 용어,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을 소개하겠습니다!

 

콘탱고(Contango) => 선물 가격 > 현물 가격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  선물 가격 < 현물 가격

 

 

출처 쓱하고 싹하고 배우는 파생상품

어려워 보이지만, 그냥 선물가격과 현물 가격 차이에 따른 상황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보관비 등의 이유로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비싸기 때문에 콘탱고 상황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만약 현물 가격이 내려간다면?

 

현물 가격 하락이 예상되면서, 선물의 가격이 내려가면서, 백워데이션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 사태 초기, 원유 수요가 급감하면서 가격 하락이 강하게 예측되자, 선물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면서 선물 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내려간 사건이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 경제 뉴스를 보면 종종 튀어나오는 단어인 "콘탱고, 백워데이션," 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제 뉴스를 보다가 이런 단어가 튀어나와도 두렵지 않겠죠?

이상 카운팅스타의 문동욱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본 게시글은 한국거래소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